기초 수학/수와 식의 계산/수의 연산
틀:안내 수의 연산 단원에서는 제곱근의 뜻과 성질, 무리수의 개념, 근호를 포함한 식의 사칙계산을 다룬다.[1]
제곱근의 뜻과 성질
제곱근의 뜻
틀:위키백과 어떤 수 가 있을 때 그 수를 제곱한 수를 라고 하자. 이 때 를 의 제곱근(제곱根, Square root)이라고 한다.[2] 즉, 어떤 수 가 있다고 가정하면, 제곱하여 가 되는 실수를 의 제곱근이라고 한다. 어떤 수 의 제곱근 중 양수인 수를 양의 제곱근이라고 하며, 로 표기하고 '루트 ' 또는 '제곱근 '라고 읽는다. 마찬가지로 어떤 수 의 제곱근 중 음수인 수를 음의 제곱근이라고 하며, 로 표기한다.
예를 들어, 이므로, 의 제곱근은 과 이고, 이다.
제곱근의 성질
- 일 때 (는 실수)
- 일 때,
- 일 때,
제곱근의 대소 관계
제곱근의 대소 관계는 아래와 같다.[4]
- 일 때
- 이면,
- 이면,
무리수의 개념

무리수의 뜻
틀:위키백과 무리수(無理數, Irrational number)는 두 정수의 비의 형태로 나타낼 수 없는 실수이다.[5] 즉, 실수 중 유리수가 아닌 수를 말하며, 순환하지 않는 무한소수이다.[6]
실수의 뜻
틀:위키백과 실수(實數, Real number) 무리수와 유리수를 총칭하는 수이다.[7] 즉, 실수는 유리수 집합과 무리수 집합의 합집합이다.
근호를 포함한 식의 사칙계산
제곱근의 곱셈
제곱근의 곱셈 연산은 다음과 같다.[8]
- 이고, 이 유리수일 때
제곱근의 나눗셈
제곱근의 나눗셈 연산은 다음과 같다.[8]
- 이고, 이 유리수일 때
제곱근의 덧셈과 뺄셈
제곱근의 덧셈과 뺄셈 연산은 다음과 같다.[9]
- 이고, 이 유리수일 때
분모의 유리화
틀:위키백과 분모가 무리수인 분수의 분모 부분을 유리수로 바꾸는 과정을 분모의 유리화(有理化, Rationalization)라고 한다. 무리수인 분모를 유리수가 되도록 분모와 분자에 같은 수를 곱해 정리하는 방법으로, 분모를 유리화하는 구체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.[10]
- 일 때
실수의 대소 관계
두 실수 의 대소 관계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 알 수 있다.[11]
- 가 실수일 때
- 이면
- 이면
- 이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