기초 수학/수와 식의 계산/다항식의 계산

testwiki
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

틀:안내 다항식의 계산 단원에서는 지수법칙, 다항식의 곱셈 원리와 인수분해, 다항식의 계산을 다룬다.[1]

지수법칙의 이해

지수법칙

a>0,b>0이고, m,n이 유리수일 때, 아래와 같은 성질이 있다.[2]

  • a0=1
  • am×an=am+n
  • am÷an=amn
  • (am)n=amn=(an)m
  • (ab)m=ambm
  • (a÷b)m=am÷bm
  • am=1÷am

다항식의 계산

다항식의 덧셈과 뺄셈

다항식의 덧셈과 뺄셈은 괄호를 풀고 동류항끼리 계산을 한다. 괄호가 있는 식에서는 괄호 안부터 계산한다.[3]

단항식과 다항식의 곱셈

단항식과 다항식의 곱셈은 분배법칙을 이용하여 식을 전개한 후 계산한다.[4]

  • a(b+cd)=ab+acad
  • (a+bc)d=ad+bdcd

다항식과 단항식의 나눗셈

다항식과 단항식의 나눗셈은 분수 꼴로 고친 후 계산하거나 분배법칙을 이용하여 전개한 후 계산한다.[5]

  • (a+bc)÷d=a+bcd=ad+bdcd
  • (a+bc)÷d=(a+bc)×1d=a×1d+b×1dc×1d=ad+bdcd

다항식의 연산

곱셈공식

틀:위키백과 곱셈공식(곱셈公式, Multiplication theorem)은 다항식의 곱셈에서 식을 전개에 대해 정리한 공식이다.[1][6]

  • (a+b)(c+d)=ac+ad+bc+bd
  • (a+b)2=a2+2ab+b2
  • (ab)2=a22ab+b2
  • (a+b)(ab)=a2b2
  • (x+a)(x+b)=x2+(a+b)x+ab
  • (x+a)(xb)=x2+(ab)ab
  • (ax+b)(cx+d)=acx2+(ad+bc)x+bd

곱셈공식의 활용

제곱의 계산

제곱의 계산은 아래와 같이 (a+b)2=a2+2ab+b2, (ab)2=a22ab+b2을 이용하여 계산한다.[7]

  • 1052=(100+5)2=1002+2×100×5+52=10000+1000+25=11025
  • 952=(1005)2=10022×100×5+52=100001000+25=9025

두 수의 곱의 계산

두 수의 곱의 계산은 아래와 같이 (a+b)(ab)=a2b2을 이용하여 계산한다.[7]

  • 102×98=(100+2)(1002)=100222=100004=9996

곱셈공식의 변형

곱셈공식은 아래와 같이 변형할 수 있다.[7]

  • a2+b2=(a+b)22ab
  • a2+b2=(ab)2+2ab
  • (a+b)2=(ab)2+4ab
  • (ab)2=(a+b)24ab
  • a2+1a2=(a+1a)22
  • a2+1a2=(a1a)2+2

인수분해

틀:위키백과 다항식에서 인수분해(因數分解, Factorization)는 어떤 다항식을 단항식이나 다항식의 곱으로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.

인수분해 공식

인수분해에 관한 공식은 다음과 같이 있다.[1][8]

  • ma+mb=m(a+b)
  • a2+2ab+b2=(a+b)2
  • a22ab+b2=(ab)2
  • a2b2=(a+b)(ab)
  • x2+(a+b)x+ab=(x+a)(x+b)
  • acx2+(ad+bc)x+bd=(ax+b)(cx+d)

인수분해의 활용

연산할 때 아래와 같이 인수분해를 활용하면 편리하다.[9]

  • 98222=(98+2)(982)=100×96=9600

각주

참고 문헌

틀:단원 안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