검색 결과

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

문서 제목 일치

  • {{안내|책=중등 수학 1/소인수분해|현재=최대공약수|다음=최소공배수}} ...약수는 그들의 최대공약수의 약수이다. 예를 들어 63과 81의 최대공약수는 9이므로, 두 수의 공약수는 최대공약수인 9의 약수와 같은 1, 3, 9이다. ...
    1 KB (12 단어) - 2018년 12월 30일 (일) 04:59
  • {{안내|책=중등 수학 1/소인수분해|이전=|현재=소수와 합성수|다음=소인수분해|다음책=중등 수학 1/소인수분해}} {{단원 안내|책=중등 수학 1/소인수분해|상위=소인수분해|이전=|다음=소인수분해|다음책=중등 수학 1/소인수분해}} ...
    2 KB (23 단어) - 2023년 11월 23일 (목) 12:53
  • 등식이란, <math>1+2=3</math> 처럼 "♡는 ☆와 같다."를 등식 기호 <math>=</math>으로 나타낸 식이다. # <math>1+2=3</math> ...
    2 KB (82 단어) - 2025년 2월 14일 (금) 11:34
  • [[File:Obeflaeche eines Quaders PD 2016 1.svg|thumb|직육면체와 전개도. 이 전개도에 나타나는 사각형 6개는 직육면체 하나의 면이다.]] [[분류:중등 수학 1]] ...
    1 KB (39 단어) - 2025년 2월 25일 (화) 11:52
  • ==== 1~50의 자연수 중 소수 찾기 ==== 이를 계속하면 1~50의 자연수 중 소수는 2, 3, 5, 7, 11, 13, 17, 19, 23, 29, 31, 37, 41, 43, 47 로 15개이 ...
    2 KB (32 단어) - 2020년 2월 9일 (일) 03:48
  • ...math>는 '미지수'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문자로, 보통 '엑스'라고 읽는다. 이 글을 읽는 사람들은 아마 초등학교 때 □<math>+1=4</math> 형태의 문제를 보았을 것인데, 그 □는 이 과정 이후로는 <math>x</math>나 다른 문자로 대체될 것이다. {{단원 안내|책=중등 수학 1/문자와 식|상위=뮨자와 식|다음=일차식과 수의 곱셈, 나눗셈}} ...
    981 바이트 (31 단어) - 2025년 2월 15일 (토) 22:52
  • {{안내|책=중등 수학 1/소인수분해|현재=소인수분해|다음=최대공약수}} ...h>를 <math>a</math>의 '''인수'''(因數, factor)라고 한다(약수와 비슷한 개념이다). 예를 들어 14의 인수는 1, 2, 7, 14가 있다. 또 이러한 인수 중에서 소수인 인수를 '''소인수'''(素因數, prime factor)라고 한다. ...
    1 KB (38 단어) - 2018년 12월 25일 (화) 08:50

문서 내용 일치

  • {{안내|책=중등 수학 1/소인수분해|현재=소인수분해|다음=최대공약수}} ...h>를 <math>a</math>의 '''인수'''(因數, factor)라고 한다(약수와 비슷한 개념이다). 예를 들어 14의 인수는 1, 2, 7, 14가 있다. 또 이러한 인수 중에서 소수인 인수를 '''소인수'''(素因數, prime factor)라고 한다. ...
    1 KB (38 단어) - 2018년 12월 25일 (화) 08:50
  • {{안내|책=중등 수학 1/소인수분해|이전=|현재=소수와 합성수|다음=소인수분해|다음책=중등 수학 1/소인수분해}} {{단원 안내|책=중등 수학 1/소인수분해|상위=소인수분해|이전=|다음=소인수분해|다음책=중등 수학 1/소인수분해}} ...
    2 KB (23 단어) - 2023년 11월 23일 (목) 12:53
  • {{안내|책=중등 수학 1/소인수분해|현재=최대공약수|다음=최소공배수}} ...약수는 그들의 최대공약수의 약수이다. 예를 들어 63과 81의 최대공약수는 9이므로, 두 수의 공약수는 최대공약수인 9의 약수와 같은 1, 3, 9이다. ...
    1 KB (12 단어) - 2018년 12월 30일 (일) 04:59
  • ...math>는 '미지수'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문자로, 보통 '엑스'라고 읽는다. 이 글을 읽는 사람들은 아마 초등학교 때 □<math>+1=4</math> 형태의 문제를 보았을 것인데, 그 □는 이 과정 이후로는 <math>x</math>나 다른 문자로 대체될 것이다. {{단원 안내|책=중등 수학 1/문자와 식|상위=뮨자와 식|다음=일차식과 수의 곱셈, 나눗셈}} ...
    981 바이트 (31 단어) - 2025년 2월 15일 (토) 22:52
  • [[File:Obeflaeche eines Quaders PD 2016 1.svg|thumb|직육면체와 전개도. 이 전개도에 나타나는 사각형 6개는 직육면체 하나의 면이다.]] [[분류:중등 수학 1]] ...
    1 KB (39 단어) - 2025년 2월 25일 (화) 11:52
  • 등식이란, <math>1+2=3</math> 처럼 "♡는 ☆와 같다."를 등식 기호 <math>=</math>으로 나타낸 식이다. # <math>1+2=3</math> ...
    2 KB (82 단어) - 2025년 2월 14일 (금) 11:3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