기초 수학/수와 식의 계산/수의 연산

testwiki
imported>ZornsLemon님의 2022년 11월 30일 (수) 01:31 판 (제곱근의 덧셈과 뺄샘)
(차이) ← 이전 판 | 최신판 (차이) | 다음 판 → (차이)
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

틀:안내 수의 연산 단원에서는 제곱근의 뜻과 성질, 무리수의 개념, 근호를 포함한 식의 사칙계산을 다룬다.[1]

제곱근의 뜻과 성질

제곱근의 뜻

틀:위키백과 어떤 수 x가 있을 때 그 수를 제곱한 수를 y라고 하자. 이 때 xy제곱근(제곱根, Square root)이라고 한다.[2] 즉, 어떤 수 a가 있다고 가정하면, 제곱하여 a가 되는 실수a제곱근이라고 한다. 어떤 수 a의 제곱근 중 양수인 수를 양의 제곱근이라고 하며, x로 표기하고 '루트 x' 또는 '제곱근 x'라고 읽는다. 마찬가지로 어떤 수 a의 제곱근 중 음수인 수를 음의 제곱근이라고 하며, x로 표기한다.

예를 들어, 32=(3)2=9이므로, 9의 제곱근은 33이고, 9=3이다.

제곱근의 성질

제곱근은 다음과 같은 성질이 있다.[2][3]

  • a>0일 때 (a는 실수)
    • (a)2=a,(a)2=a
    • a2=a,(a)2=a
  • a>0일 때, a2=|a|=a
  • a<0일 때, a2=|a|=a

제곱근의 대소 관계

제곱근의 대소 관계는 아래와 같다.[4]

  • a>0,b>0일 때
    • a<b이면, a<b,a>b
    • a<b이면, a<b

무리수의 개념

2는 무리수이다.

무리수의 뜻

틀:위키백과 무리수(無理數, Irrational number)는 두 정수의 비의 형태로 나타낼 수 없는 실수이다.[5] 즉, 실수 중 유리수가 아닌 수를 말하며, 순환하지 않는 무한소수이다.[6]

실수의 뜻

틀:위키백과 실수(實數, Real number) 무리수유리수를 총칭하는 수이다.[7] 즉, 실수는 유리수 집합과 무리수 집합의 합집합이다.

근호를 포함한 식의 사칙계산

제곱근의 곱셈

제곱근의 곱셈 연산은 다음과 같다.[8]

  • a>0,b>0이고, m,n이 유리수일 때
    • a×b=ab
    • a2b=ab,ab2=ba
    • ma×nb=mnab
    • (ab)2=(ab)2=(a)2(b)2=ab

제곱근의 나눗셈

제곱근의 나눗셈 연산은 다음과 같다.[8]

  • a>0,b>0이고, m,n이 유리수일 때
    • ab=ab
    • ab2=ab2=ab
    • ma÷nb=mnab
    • (ab)2=(ab)2=(a)2(b)2=ab

제곱근의 덧셈과 뺄셈

제곱근의 덧셈과 뺄셈 연산은 다음과 같다.[9]

  • a>0이고, m,n이 유리수일 때
    • ma+na=(m+n)a
    • mana=(mn)a

분모의 유리화

틀:위키백과 분모가 무리수인 분수의 분모 부분을 유리수로 바꾸는 과정을 분모의 유리화(有理化, Rationalization)라고 한다. 무리수인 분모를 유리수가 되도록 분모와 분자에 같은 수를 곱해 정리하는 방법으로, 분모를 유리화하는 구체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.[10]

  • a>0,b>0일 때
    • ab=a×bb×b=ab(b)2=abb
    • ab=a×bb×b=ab(b)2=abb
    • ab+c=a(bc)(b+c)(bc)=abacbc

실수의 대소 관계

두 실수 a,b의 대소 관계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 알 수 있다.[11]

  • a,b가 실수일 때
    • ab>0이면 a>b
    • ab=0이면 a=b
    • ab<0이면 a<b

각주

참고 문헌

틀:단원 안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