기초 수학/피타고라스 정리와 삼각비/피타고라스 정리: 두 판 사이의 차이
imported>Namoroka |
(차이 없음)
|
2020년 3월 21일 (토) 14:27 기준 최신판
틀:안내 피타고라스 정리 단원에서는 피타고라스 정리를 이해하고 평면에서 두 점 사이의 거리를 구하는 방법을 다룬다.[1]
피타고라스 정리


오른쪽 그림과 같은 정사각형에서 한 변의 길이는 이기 때문에 넓이는 이다. 반면, 네 개의 직각삼각형의 넓이의 합은 이고 가운데 정사각형 부분의 넓이는 이므로 이 둘의 합이 정체 정사각형의 넓이라는 점을 이용하여 전체 정사각형 넓이를 계산하면 이다. 이를 이용하여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.[2]

즉, 직각삼각형의 각 변의 길이를 각각 이 있고 를 빗변의 길이라고 할 때 이 성립한다. 이를 피타고라스 정리(Pythagorean theorem)라고 한다.[2][3]
두 점 사이의 거리
좌표평면에서 두 점 이 있을 때, 점 에서 축에 평행하게 그은 직선과 점 에서 축에 평행하게 그은 직선이 만나는 점을 이라고 하고, 두 점 사이의 거리를 이라고 하자. 는 을 빗변으로 하는 직각삼각형이고, , 이므로 은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해 아래와 같은 관계가 있다.[4]
따라서 좌표평면에서 두 점 가 있을 때 두 점 사이의 거리 은 아래와 같다.[4]
피타고라스 정리의 역
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를 각각 라고 할 때 이들의 관계가 이 성립하면 가 빗변인 직각삼각형이다.[5][6]
에서 일 때 아래와 같은 관계가 있다.[5]
- 일 때
- (예각삼각형)
- 일 때
- (직각삼각형)
- 일 때
- (둔각삼각형)
또한 위의 역도 아래와 같이 성립한다.[7]
- 일 때
- (예각삼각형)
- 일 때
- (직각삼각형)
- 일 때
- (둔각삼각형)
평면도형에의 활용
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각각 인 직각삼각형에서 대각선 의 관계는 을 빗변으로 하는 직각삼각형이므로 아래와 같은 관계가 있다.[8]
한 변의 길이가 이고 높이가 인 정삼각형 의 넓이를 , 꼭짓점 에서 대변에 내린 수선의 발을 라고 하고 피타고라스 정리를 이용하여 그 관계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.[8]
두 각의 크기가 인 직각삼각형이 있을 때 세 변 (는 빗변)의 비는 이고, 두 각이 각각 , 이 있을 때 세 변 (는 빗변, )의 비는 이다.[9]
입체도형에의 활용

오른쪽 그림과 같은 직육면체가 있을 때 직육면체의 대각선의 길이에 대해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.[10]
따라서 가로, 세로, 높이의 길이가 각각 인 정육면체의 대각선의 길이 은 아래와 같다.
밑면의 반지름의 길이가 이고 모선의 길이가 인 원뿔이 있을 때 높이 와 부피 에 대해 피타고라스 정리를 활용하여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.[10]
한 변의 길이가 인 정사각형을 밑면으로하고 옆면의 모서리의 길이가 인 정사각뿔의 높이 와 부피 에 대해 피타고라스 정리를 활용하여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.[11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