해석학 개론/치환적분 문서 원본 보기
←
해석학 개론/치환적분
둘러보기로 이동
검색으로 이동
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.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:
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:
사용자
.
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.
'''치환적분'''은 적분하고자 하는 식의 변수를 다른 변수로 치환할 때 적분의 형태가 어떻게 변하는지를 말해주는 공식이다. 마치 언뜻 보기에는 귀찮은 방정식인 <math>x^3+4x^2+6x^2+4x+4=0</math>을 <math>x</math>에 관해 풀 때 새로운 변수 <math>y=x+1</math>을 도입하여 <math>y^4+4=0</math>라는 좀 더 풀기쉬운 방정식을 대신 풀듯 쉽게 만드는 법이다. 이러한 공식은 [[해석학개론/연쇄법칙|연쇄법칙]]덕에 성립한다. == 공식 : 부정적분 꼴 == :<math> \int f(g(t)) g'(t) \,dt = \int f(x)\,dx </math> == 공식 : 정적분 꼴 == <math>g(t)</math>가 구간 <math>[a,b]</math>에서 정의된 연속미분가능한 함수이고 <math>f(x)</math>가 <math>g(t)</math>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구간에서 정의된 적분가능한 함수이면 :<math> \int_{a}^{b} f'(g(t)) g'(t)\,dt = \int_{g(a)}^{g(b)} f(x)\,dx </math> 가 성립한다. {{돌아가기|[[해석학 개론]]}} [[분류:해석학 개론|치환적분]]
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:
틀:돌아가기
(
원본 보기
)
해석학 개론/치환적분
문서로 돌아갑니다.
둘러보기 메뉴
개인 도구
로그인
이름공간
문서
토론
한국어
보기
읽기
원본 보기
역사 보기
더 보기
검색
둘러보기
대문
최근 바뀜
임의의 문서로
미디어위키 도움말
특수 문서 목록
도구
여기를 가리키는 문서
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
문서 정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