해석학 개론/상한, 하한 문서 원본 보기
←
해석학 개론/상한, 하한
둘러보기로 이동
검색으로 이동
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.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:
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:
사용자
.
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.
'''정의2.0''' 실수의 집합 R의 공집합이 아닌 부분집합 A가 있다고 한다. 이 때, 어떤 실수 M이 존재해 모든 x∈A에 대해서 x≤M을 만족할 때, M을 집합A의 '''상계'''라고 하며, 집합 A의 상계가 존재할 때 집합A는 '''위로 유계'''라고 한다. 마찬가지로, 어떤 실수 M이 존재해 모든 x∈A에 대해서 x≥M을 만족할 때, M을 집합A의 '''하계'''이라고 하며, 집합A의 하계가 존재할 때 집합A는 '''아래로 유계'''라고 한다. 그리고 집합A가 위로 유계이며 아래로 유계이기도 할 때 집합A는 '''유계'''라고 한다. 집합A가 공집합일 때는 집합A는 유계라고 정한다. 이제 논리식으로 적으면 다음과 같다. '''A는 위로 유계이다''' <math>\Leftrightarrow \ \exists M\in \mathbb{R} \ \ \forall x\in A \ \ s.t \ \ x\leq M</math> '''A는 아래로 유계이다''' <math>\Leftrightarrow \ \exists M\in \mathbb{R} \ \ \forall x\in A \ \ s.t \ \ x\geq M</math> '''정의2.1''' <math>\mathbb{R}</math>의 부분집합 A가 있다고 하자. 이 때, 어떤 a∈A가 존재해서 임의의 x∈A에 대해서 <math>x\leq a</math>가 성립하면 a를 A의 '''최대값'''이라 부르며, 어떤 b∈A가 존재해서 임의의 x∈A에 대해<math>x\geq b</math>가 성립하면 b를 A의 '''최소값'''이라고 부른다. '''공리 (완비성의 공리, 연속성의 공리)''' 집합A의 상계가 존재할 때 상계를 모두 모아놓은 집합을 U={x∈R|x는 A의 상계이다}라고 하자. 이 때, U는 항상 최소값을 가진다. 마찬가지로 집합A의 하계가 존재할 때 하계를 모두 모아놓은 집합을 L={x∈R|x는 A의 하계이다}이라고 할 때, L은 항상 최대값을 가진다. '''정의2.2''' <math>\mathbb{R}</math>의 부분집합 A가 위로 유계일 때 A의 상계의 최소값을그 값을 집합A의 '''상한'''이라고 하며, A가 아래로 유계일 때 A의 하계의 최대값을 집합A의 '''하한'''이라고 한다. '''정리2.3''' a가 A의 상한이라는 것은 다음의 두 조건이 성립하는 것과 동치이다. (U1) <math>\forall x\in A \ \ s.t \ \ x\leq a</math> (U2) <math>\forall\varepsilon >0 \,\, \exists b\in A \ \ s.t \ \ a-\varepsilon < b </math> (증명) (=>) (<=) ■ '''정리2.5''' b가 A의 하한이라는 것은 다음의 두 조건이 성립하는 것과 동치이다. (L1) (L2) (증명생략) [[분류:해석학 개론|상한, 하한]]
해석학 개론/상한, 하한
문서로 돌아갑니다.
둘러보기 메뉴
개인 도구
로그인
이름공간
문서
토론
한국어
보기
읽기
원본 보기
역사 보기
더 보기
검색
둘러보기
대문
최근 바뀜
임의의 문서로
미디어위키 도움말
특수 문서 목록
도구
여기를 가리키는 문서
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
문서 정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