천체물리학/용어/길이 문서 원본 보기
←
천체물리학/용어/길이
둘러보기로 이동
검색으로 이동
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.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:
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:
사용자
.
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.
{{재편집| 한국어 위키백과라도 제대로 베껴서 책으로 만들어 주십시오: [[:w:천문단위]]}} 광활한 우주에서 그 거리를 나타낼 수 있는 척도란 필수요소이다. 또한 길이나 크기를 나타내는 용어도 필요하다. == 거리의 용어 == * AU(천문단위)-주로 태양계 내부의 거리, 거성의 크기, 다른 항성계내의 거리를 나타내며, 그 거리는 지구 공전궤도의 긴반지름 즉 1억 5000만 km이다. * 광년-태양계 외부에서 측정하는 단위로, 별까지와 별간의 거리를 나타낼때 쓰인다. 빛이 1년동안 진행하는 거리이다. 1광년은 약 9조5천억km이다. * pc(파섹)-파섹은 광년보다 큰 단위로 약 3.26광년이다. 1pc은 연주시차를 기준으로 한 거리이다. 천문 관측에서는 60분법이 사용되어 1/60도를 1분, 1/60분을 1초로 한다. 이때 연주시차가 1초가 되는 거리가 1pc이다. 연주시차는 시차의 절반, 즉 태양과 바라보는 천체를 잇는 직선, 그리고 지구와 바라보는 천체를 잇는 직선이 이루는 각이다. * kpc,Mpc(킬로파섹,메가파섹) - 은하간의 거리 등에 사용된다. 광년과 달리 SI접두어가 붙은 형태로 쓰인다. == 크기의 용어 == * 천문단위 - 위의 설명으로 갈음 * 태양반경 - 항성의 크기를 나타낼때 쓰인다. 태양반경은 <math>R_{\odot} = 6.960\times 10^8\hbox{ m} = 0.004652\hbox{AU}</math> 이다. {{돌아가기|[[천체물리학]]}} {{돌아가기|[[천체물리학/용어]]}} [[분류:천체물리학|용어/길이]]
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:
틀:돌아가기
(
원본 보기
)
틀:재편집
(
원본 보기
)
천체물리학/용어/길이
문서로 돌아갑니다.
둘러보기 메뉴
개인 도구
로그인
이름공간
문서
토론
한국어
보기
읽기
원본 보기
역사 보기
더 보기
검색
둘러보기
대문
최근 바뀜
임의의 문서로
미디어위키 도움말
특수 문서 목록
도구
여기를 가리키는 문서
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
문서 정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