중등 수학 1/수와 연산/자연수의 성질/소인수분해 문서 원본 보기
←
중등 수학 1/수와 연산/자연수의 성질/소인수분해
둘러보기로 이동
검색으로 이동
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.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:
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:
사용자
.
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.
'''소인수분해'''에서는 거듭제곱과 소인수분해의 뜻을 알고 소인수분해할 수 있는 것을 목표로 한다.그렇다 === 거듭제곱 === 2를 2번 곱한 수는 2×2이며 이를 <math>2^2</math>로 나타낼 수 있다.또 2을 3번 곱한 수는 2×2×2이며 이를 <math>2^3</math>로 나타낼 수 있다. 이의 세제곱이라고 읽는다. <br /> 이때, <math>2^2</math>와 <math>2^3</math>, <math>2^4</math>를 통틀어 '''2의 거듭제곱'''이라고 한다. 여기서 2는 밑이고 <sup>2</sup>는 지수이다. 지수는 곱하는 개수를 나타낸다. === 소수와 합성수 === '''소수'''는 3처럼 1보다 큰 자연수 중 1과 자신의 수만을 약수로 가지는 수를 말한다. 여기서 소수는 0.108과 같이 소수점 아래로 나열된 형태가 아님을 주의해야 한다.<br /><br /> 또 '''합성수'''는 6처럼 1보다 큰 자연수 중 3개 이상의 약수를 가지는 수를 말한다. 즉, 합성수는 1보다 큰 자연수 중에서 '''소수가 아닌 수'''이다. ==== 1~50의 자연수 중 소수 찾기 ==== 1에서 50까지의 자연수 중 소수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. 이 방법을 '에라토스테네스의 체'라고도 한다. # 1은 소수가 아니므로 삭제 # 소수인 2를 남기고 2의 배수 삭제 # 소수인 3을 남기고 3의 배수 삭제 # 소수인 5를 남기고 5의 배수 삭제 # 소수인 7을 남기고 7의 배수 삭제 이를 계속하면 1~50의 자연수 중 소수는 2, 3, 5, 7, 11, 13, 17, 19, 23, 29, 31, 37, 41, 43, 47 로 15개이다. === 소인수 === 6=2×3로 나타내었을 때, 2와 3는 6의 약수이자 인수이다. 또, 3은 6의 인수이면서 소수가 된다.<br /> 이처럼 인수이면서 소수인 수를 주어진 수의 '''소인수'''라고 한다. === 소인수분해 === 24는 2×2×2×3, 즉 2³×3처럼 소인수들만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. 이처럼 어떤 자연수를 소인수들만의 곱으로 나타내는 것을 '''소인수분해한다'''고 한다.
중등 수학 1/수와 연산/자연수의 성질/소인수분해
문서로 돌아갑니다.
둘러보기 메뉴
개인 도구
로그인
이름공간
문서
토론
한국어
보기
읽기
원본 보기
역사 보기
더 보기
검색
둘러보기
대문
최근 바뀜
임의의 문서로
미디어위키 도움말
특수 문서 목록
도구
여기를 가리키는 문서
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
문서 정보